센터활동

[20주년 축하 기고문 특집①]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와의 오랜 인연: 함께한 발걸음, 그리고 미래

관리자 2024.12.02

▣ 20주년 축하 기고문 특집①

   제목: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와의 오랜 인연: 함께한 발걸음, 그리고 미래

   소속:  George Mason University

   직책:  교수

   성함:  정유선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 버지니아 주 조지 메이슨 대학 내 특수교육학과 보조 공학 프로그램 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인 정유선 입니다

우선, 경기도 재활공학 서비스 연구 지원센터 (이하 센터) 개소 20주년 백서를 위한 글을 요청해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센터와 저의 오랜 인연을 되돌아 보는 소중한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후반, 제가 보조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얼마 후, 센터와의 첫 만남을 가졌던 때가 기억납니다. 정확한 계기는 흐릿하지만, 그 만남은 저와 센터 서로에게 귀한 영감을 주는 시간이었으리라 생각 되어집니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센터 관계자분들과 보조 공학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며, 몇 차례 센터의 초청으로 강연을 통해, 미국과 한국 보조공학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지식을 나눌 기회를 가졌습니다.

 

특히 2019년은 저에게도, 제 학생들에게도 잊을 수 없는 특별한 해였습니다. 제가 가르치는 보완 대체 의사 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수업 학생들과 함께 "Exploring Assistive Technology In Korea"라는 조지 메이슨 대학의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센터를 방문했던 경험은 여전히 선명하게 기억됩니다

센터 측에서는, 학생 방문을 위해 센터에 대한 포괄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준비해 주셨고, 센터 내 다양한 보조기기와 시설을 직접 체험하고 배울 수 있도록 세심하게 안내해 주셨습니다.

 

학생들은 센터에서 제공한 경험을 통해 보조기기의 실질적 활용을 직접 체험하며, 센터의 수준 높은 전문성과 열정을 느꼈습니다

졸업한 학생들조차 아직도 당시의 견학을 최고의 학습 경험으로 손꼽고 있으며, 저 역시도 교육자로서의 여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센터는 설립 이후 꾸준히 발전하며 한국 보조공학의 중심축 역할을 해왔습니다. 최근에는 AAC 분야에 집중하며 관련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왔고, 맞춤형 개조 제작 사업으로도 그 범위를 확장해 왔습니다. 특히, 센터가 운영하는 보완 대체 의사 소통판 제작 플렛폼과 3D 보조기기 공공 플랫폼은 누구나 쉽게 보조기기를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귀중한 자원입니다. 가장 최근에는 장애인 게임 접근성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으며, 센터의 끊임없는 발전에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센터가 20년동안 보여준 노력과 성과는 한국 보조공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은 주 정부 지원 아래 보조공학 센터들이 활발히 운영됩니다

제가 거주하는 버지니아 주의 경우, “Virginia Assistive Technology System (버지니아 보조공학 시스템)” 1990년에 설립되어 보조공학의 접근성과 활용을 지원하며, AT 기기 시연 및 대여, 기기 재사용 및 교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합니다. 또한, 장애인과 가족,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기기 정보, 자금 지원 옵션, 서비스 제공자 연결 등을 제공 등의 서비스를 통해 경기도 센터와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센터가 독립적인 공간과 더 나은 운영 환경을 구축하여 한국의 보조공학 분야에서 더욱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더 많은 장애인과 가족들에게 혁신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경기도 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의 2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앞으로도 센터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공을 응원하고 함께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유선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