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활동
[보조기기 관련 포스트 소개] 장애인도 즐길 수 있는 게임 경험을 위해,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이야기 관리자 2024.08.19 |
|
지난 5월,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는 2024 플레이 엑스포에서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체험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부스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기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게임 접근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실제로 플레이 엑스포에서 게임 보조기기를 관찰하고 체험한 에디터를 센터에 초대하여 게임 보조기기와 현재 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업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게임 에디터 방문 관련 포스트를 소개합니다.
―――――――――――――――――――――――――――――――――――――――――――――――――――――――――――――――――――――――――――――――――――――――――――――――――――――――――――――――――――――――――― 보조기기란?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기능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뜻합니다.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간단하게 둘러보기 경기도 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는 신체적 제약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전문적인 보조기기 서비스 제공과 보조공학 관련 연구 및 산업화지원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관입니다.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에 입주하고 있으며 수원시에는 남부센터, 양주시에는 북부센터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1층에는 보조기기 견학과 체험 그리고 보조기기 지원 상담이 이루어지는 전시체험장이 있습니다. 실제로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다양한 보조기기를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센터 건물 자체가 장애인 상담과 방문이 많은 만큼 소위 ‘유니버셜 디자인’ 을 구현했습니다.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가 하는 일 2004년에 설립한 보조기기 서비스 전문기관인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가 하는 일은 경기도에 거주 중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기기 상담과 보조기기 서비스 제공하고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보조기기를 제공하고 피드백과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개선을 합니다. 또한, 저소득층과 차상위 대상으로 공적급여 자문사업을 하며 보조기기 세척과 같은 클린업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사업의 시작 본격적인 게임 보조기기 연구 및 지원 사업은 2023년에 시작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사태를 거치면서 게임과 e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 기관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과 국회에서 게임과 e스포츠에 대한 진흥 정책을 펼치면서 장애인도 게임을 동등하게 즐길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장애인도 게임을 잘 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고 수요가 존재했습니다. 실제로 게임 박람회에서 장애인 게임 경험에 관련된 토론을 했었고 장애인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면서 관심을 유도하게 만든 순간들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사업은 아름다운재단, 국립재활원, 카카오게임즈와 함께 손을 잡으면서 게임 보조기기 사업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2023년에 시작한 게임 보조기기 사업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 중인 장애인 게이머를 대상으로 (230만원 이내) 게임 보조기기를 지원했습니다. 원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필수품' 인 보조기기를 연구하고 지원하는 것에 주력했는데 '게임' 같은 경우 필수가 아닌 '취미' 의 일환이라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참여율이 낮았다는 점은 차치하더라도 게임의 장르에 따라 보조기기 이용자가 즐기는 게임의 종류와 거주 중인 공간 그리고 원하는 기능이 다양해서 표준을 정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게다가, 장애 유형도 다양하다는 점도 있습니다.
그렇게 여러 차례 상담과 자택 방문 상담을 통해 해외에서 선보였던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게임 보조기기를 공수하거나, 이용자 맞춤으로 기존 보조기기를 개조하거나, 3D 프린터를 활용해서 따로 제작을 해서 제공하는 형태로 지원을 했습니다. 참고로, 2023년엔 게임 보조기기를 지원을 받고 보조기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의견을 나누면서 개선해갔으며 사업 첫 해 연말에 카카오게임즈 사옥에서 우수 사례를 소개하는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꽤 많은 과정이 필요한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사용 게임 보조기기가 생각보다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용자가 즐기는 게임이 무엇인지, 보조기기 이용자가 게임을 즐기는 공간이 어떻게 구성이 되었는지, 게임 보조기기 장비 활용 등등 다양한 제반 사항이 존재합니다. 게임에 따라서 조작하는 방법이 다르고 어떤 입력 장치가 필요한지 (버튼 동시 입력 여부/조이스틱 존재 여부) 거기에 이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게임을 불편함 없이 하는 방법을 보조기기 제작과 공수를 통해 찾습니다.
그래서, 센터에서는 이용자와 상담을 자주하면서 이용자가 게임을 편하게 하기 위해 상담과 후기 (피드백) 를 통해 맞춰가면서 개선을 했습니다. 특히, 일반 보조기기에 비해서 게임 보조기기는 가정 방문이 많은 편이고 사용성 평가가 많으며 이용자의 훈련이 필수적이라는게 특징입니다.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한 걸음 들어가보기 대략적으로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에서 추진한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사업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를 했습니다. 이제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에 대해서 한 걸음 들어가보겠습니다. 전반적으로 PC 기준으로 보면 입력 장치가 키보드보다 마우스 위주가 많습니다. 키보드는 누르기 쉽고 키가 잘 보이게 하는 것이 특징인데 마우스와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 장치는 간단한 버튼부터 이 중에서 제일 눈에 띈 손 모션으로 마우스 조작이 가능한 '탭스트랩' 까지 유형이 다양합니다.
일단, 키보드 같은 경우 시력에 문제가 있다면 키보드의 키 자체를 키워서 폰트를 크게 만드는 것 외에는 딱히 보조기기로서 활용성이 전무한 편입니다. 다만, 이것은 장애인 대상자에게 맞춰서 접근하는 것이 목적이라 입력 장치가 한 부류로 통일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무언가를 움직여서 동시에 입력을 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스위치처럼 누르는 형태의 보조기기가 많습니다. 근육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 하는 상황에서 누를 때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위 스위치도 마찬가지인데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 참고로, 이 스위치의 감도를 맞추기 위해 이용자와 여러 이야기를 할 정도로 신경을 썼습니다.
위와 같이 단순 입력이 되는 보조기기가 있다면 작은 힘으로도 마우스 조작이 가능한 보조기기도 있습니다. 위 사진에 나와있는 '프리토리아 오비트랙' 도 좌/우클릭 뿐만 아니라 더블 클릭 그리고 드래그를 작은 힘으로도 조작이 가능합니다. 스위치와 위 장비처럼 누를 수 없다면 노트북의 트랙 패드처럼 만지기만 해도 조작이 가능한 컨트롤러가 있습니다. 마치 노트북의 트랙패드처럼 힘을 주지 않아도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거나 더블 클릭이 가능한 보조기기가 존재합니다.
손 뿐만 아니라 턱으로 조작이 가능한 보조기기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턱을 괴고 조작을 하는 형태로 . 다만, 단점이 있다면 조이스틱 부분의 감도 조절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근육병으로 인해 신체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게임 보조기기가 존재합니다.
2024년에 달라진 점이 있다면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것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형태로 게임 보조기기 지원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호리에서 개발한 '닌텐도 스위치 플렉스 컨트롤러'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지원합니다. 그래서, 가능한게 있다면 '눈동자로 게임이 가능' 한 단계까지 왔습니다. 참고로, 근육병에 걸려서 온 몸의 근육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 게임을 할 때 입력기기를 사용할 수 없지만 눈동자로 게임을 하고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플렉스 컨트롤러를 연결하고 화면에 가상 패드를 띄우고 WASD 키값을 설정해서 눈동자를 추적해서 조작을 하는 형태입니다. 이 뜻은 눈동자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지원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근육병을 가지고 있는 유튜버 장익선님은 눈으로 스타크래프트와 엘든링을 하는 것을 공개하기도 했고 영상 편집을 하는 과정도 보여줬습니다.
눈동자를 인식하기 위해선 카메라가 필수겠죠? 이것은 반사체 센서형 마우스라고 불리는 일종의 특수마우스로 '트랙커프로' 라는 장비입니다. 안경이나 얼굴 정중앙에 인식 스티커를 붙이고 연결된 카메라에 인식을 하면 마우스 커서가 움직이는 형태입니다. 이 작은 몇 백만원짜리 카메라는 국립장애인도서관에 독서 보조기기로 소개를 했는데 게임 보조기기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눈으로 게임을 하는 것도 있지만 입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보조기기인 '쿼드스틱' 도 있습니다. 입을 불면 마우스 좌클릭, 빨아들이면 마우스 우클릭이 가능한 장비로 오로지 입으로만 조작이 가능한 입력 장치입니다. 주로 콘솔 FPS 게임을 즐기는 분들이 이런 장비를 활용하지만 가격이 꽤 높은 편입니다. 이런 장비 같은 경우 산업적으로 형성이 되지 않았지만 수요가 있어서 판매하는 특수한 사례입니다.
그 밖에, 이렇게 이미 존재한 장애인 보조기기도 있고 3D 프린터로 제작한 보조기기도 있지만 기존 장비를 게임 보조기기로 활용이 가능한 사례가 있습니다. 인터넷 방송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엘가토 스트림덱' 입니다.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할 때 동시에 입력하는 키, 예를 들면 복사/붙여넣기 (Ctrl+C/Ctrl+V) 가 어려운 경우에 스트림덱을 활용해서 설정하면 단 하나의 버튼으로 단축키 실행이 가능한 것도 있습니다. 장애인 PC 온라인 게이머를 위한 표준 컨트롤러 그 동안 플레이스테이션, XBOX, 닌텐도 스위치에서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 (엑세스 컨트롤러) 를 선보인 덕분에 콘솔 게임이 성행한 국가의 장애인 게이머는 쉽게 접근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처럼 PC 온라인 게임이 성행한 국가 같은 경우 콘솔처럼 표준이 없어서 제각각이라 PC 온라인 게임을 위한 표준 컨트롤러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에서 연구 중인 장애인 게임 보조기기는 PC 게이머를 위한 표준 컨트롤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보조기기의 e스포츠 대회 활용 가능성? 게임 보조기기를 통해 e스포츠 대회를 실제로 구현을 한 사례가 이번 사업을 통해 시도했습니다. 아직은 머나먼 이야기지만 보조기기를 통해서 경쟁을 하는 콘텐츠도 꽤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앞서 언급을 드렸던 것처럼 장애인 PC 온라인 게이머를 위한 '표준' 이 없어서 신중하게 접근을 할 필요가 있지만 장애인 e스포츠 대회에서 동등하게 경쟁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면 대회에서도 멋진 경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e스포츠의 매력은 성별/나이/장애 여부를 초월해서 누구나 가상 공간에서 경쟁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게임 보조기기의 역할은 적어도 취미 생활을 온전히 즐기면서 삶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가상 공간에서 경쟁을 동등하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게임 에디터의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를 방문하여 게임 보조기기 관찰 포스트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포스트 사이트를 방문하여 확인해주시길 바라며,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게임보조기기 사업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