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 이동보조기구가 갑자기 멈추거나 작동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이동보조기구 를 급하게 이동을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는 이동보조기구의 수/ 전동레버를 수동으로 전환하면 이동을 할 수가 있다. 전동 스쿠터의 수/전동 레버 의 위치는 대부분 차체의 후면에 있으며, 전동휠체어의 경우는 차체후면의 양쪽 기어부분에 각각 하나씩 있으므로 양쪽 모두 수동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다른 경 우로는 차체의 좌/우 중 어느 한 부분에 케이블로 연결되어서 전동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수/전동 레버를 작동 할 수가 있다.
첫 번째로 전구의 문제로 전구가 나가는 경우이다. 이때는 가까운 전파사에서 조치가 가능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구입업체에 문의하여서 전구를 교체하면 된 다. 교체는 전구를 덮고 있는 커버만 분리하여 전구를 교체하면 된다. (주의할 점 으로 교체 시 동일한 것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전구의 종류는 전구 표면에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와트 w, 봍트, v)
두 번째로 라이트 및 방향지시등의 연결배선에 문제로 배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작동이 안 될 때가 있다. 이때는 주기적으로 연결배선을 확인 하 는 것이 좋으며, 배선이 끈어졌다면 가까운 전파사 및 구입업체에 문의하며 된다.
세 번째로 라이트 및 방향지시등을 조절하는 컨트롤러 및 pc보드의 문제로 전 문적인 기술자의 확인이 필요하므로 구입업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튜브의 펑크는 타이어에 못이나 뾰족한 물체(이물질)에 의해서 타이어 내부의 튜브에 구멍이 생겨서 일어나는 현상과 바퀴의 휠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튜브 가 찢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부분에 대하여 수리를 받을시 사용자는 타이어에 박 혀있는 물체(이물질)가 제거 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고 튜브만 교체 시 반복적인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환경적/지형적인 요인에 의하여 타이어와 내부의 압력에 가해지는 잦은 충격들은 튜브의 펑크에 요인을 주게 되므로 반복적으로 튜브를 교체하는 것 보다 통고무타이어로 교체를 하는 것을 고려해보아야 한다(단, 통고무타이어는 완 충력이 떨어지므로 사용자 신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세 번째로는 바퀴 휠 자체의 문제로 휠은 튜브와 직접적으로 닿는 내부부위로 서 휠 부분에 구조적 문제가 있을시 튜브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휠을 포함하여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튜브의 바람주입구에 무시 고무가 삼입 되는 형태의 경우는 튜브에 펑크는 발 생하지 않았으나 무시 고무가 찢어지거나 노후 된 경우 바람이 빠지는 경우가 있 으므로 바람이 조금씩 빠지거나 튜브를 교체하였는데 증상이 똑같다면 무시고무를 교체하여 주면 된다. 수동휠체어의 타이어나 튜브 같은 경우는 가까운 자전거 가 게에도 판매가 되며 수리도 해 준다. 바퀴의 둘레 사이즈나 넓이는 타이어의 바깥 면에 숫자로 기입이 되어 있으므로 수리 시 참고하면 된다.
타이어의 마모는 타이어의 형태와 주 이동 공간의 환경적/지형적 요인에 영향 을 미친다. 경사가 많은 길, 비포장길, 지면이 미끄러운 길 등에는 타이어의 마모 가 진행이 되어 되도록 속도를 줄여서 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한쪽 바퀴의 타 이어만 마모가 될 경우에는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쳐있다는 것이므로, 수동휠 체어 무게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통고무타이어로 교체 할 경우 전동 이동기구와는 달리 수동을 추진을 하기 때 문에 타이어가 마모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펑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일 이 없음으로 사용상 편리 할 수 있다. 하지만 통고무타이어의 경우도 완충력이 많 이 떨어지며 바퀴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충격 이 많이 가해지므로 신체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튜브의 형태는 마그용 과 무시고무용이 있다. 마그용은 바람주입구와 튜브가 일체형으로 일반 자전거나 자동차 주입고와 비슷하므로 바람을 주입하는데 큰 어 려움이 없으나 무시고무용 같은 경우는 바람주입구에 무시고무란 바람주입구에 결 합이 되어 들어간다. 이 때 무시고무가 오래되거나 바람주입을 오랜 기간 하지 않 은 경우 바람을 주입하여도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주입 시 압력을 많이 주어야 한다. 그래도 안 될 시에는 무시고무를 교체하여야 한다. 무시고무는 일반 휠체어 업체 및 일반 자전거 가게에서도 구입을 할 수 있다.
휠체어가 잘 접히지 않는 경우는 대부분 프레임이 오래되어 녹이 슬거나 아니 면 프레임이 휘어져 있는 경우가 있다. 녹이 슨 경우는 녹을 제거 후 윤활유를 바 르면서 여러번 접었다 폈다를 반복 후 사용하면 되며, 그래도 안 될 시에는 프레 임이 휘어진 것으로 구입업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보호자용 브레이크는 케이블식일 경우 고장이 많으며 케이블이 빠지면서 보호 자용의 브레이크가 작동이 안 될 때가 많다. 이때는 가까운 자전거 가게나 구입업 체에 문의하여 교정을 받으면 된다. 안된다고 억지로 작동하여서 파손에 이르기 전에 빠른 시일로 교정하여 사용하고, 반복적으로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사항을 참고하면 좋다.
앞바퀴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앞바퀴의 요크베어링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요크베어링은 앞바퀴와 연결된 프레임의 축을 말하며 내부에 베어링이 들어간다. 베어링이 망가지면 앞바퀴의 회전에 영향을 주어서 휠체어의 방향전환이 잘 안된 다. 이때는 베어링이 요크내부에 눌러지기 전에 제거하여 다른 베어링으로 교체하 여 주면 된다. 베어링이 망가지는 원인은 베어링이 물에 닿으면 녹슬면서 부서지 기 시작된다. 그러므로 물은 항상 조심하여야 되며, 물이 잘 마르도록 조치를 취하 면서 지속적으로 윤활제를 요크베어링에 뿌려줘야 한다.